지노랩 /JinoLab
픽셀 밀도(PPI)와 해상도 쉽게 이해하기 본문
스마트폰이나 모니터를 고를 때 한 번쯤 본 적 있는 PPI와 해상도.
막상 뜻을 물으면 헷갈리기 쉽지만, 알고 나면 디스플레이 선택과 그래픽 작업에 큰 도움이 됩니다.
오늘은 초보자도 알기 쉬운 예시와 함께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게요.
1. 픽셀 밀도(PPI)란?
- PPI(Pixels Per Inch): 인치당 몇 개의 픽셀(pixel)이 들어있는지를 나타내는 단위
- 숫자가 클수록 같은 크기 화면에 더 많은 픽셀이 모여 있다는 의미
왜 중요할까?
- 선명도 향상
- PPI가 높으면 글자나 이미지의 가장자리가 매끄럽고, 거리가 가까워도 픽셀이 보이지 않습니다.
- 고해상도 이미지 표현
- 같은 크기 화면에 더 많은 정보를 담아도 깨지지 않고, 세밀한 디테일을 표현할 수 있어요.
PPI 계산 방법
- 가로 픽셀 수와 세로 픽셀 수를 알고 있다고 가정
- 대각선 길이(인치)를 측정
- 공식:PPI=(가로 픽셀2+세로 픽셀2)화면 대각선 길이(인치)\text{PPI} = \frac{\sqrt{(\text{가로 픽셀}^2 + \text{세로 픽셀}^2)}}{\text{화면 대각선 길이(인치)}}
예를 들어, 5인치 크기에 1080×1920 해상도를 가진 스마트폰은
10802+19202÷5≈440 PPI\sqrt{1080^2 + 1920^2} \div 5 \approx 440\ \text{PPI}
정도로 계산됩니다.
2. 해상도(Resolution)란?
- 해상도: 화면을 구성하는 가로×세로 픽셀 수
- 흔히 “가로 1920픽셀, 세로 1080픽셀”을 1920×1080 해상도라고 부르죠.
주요 표준 해상도
약칭 해상도 (픽셀) 설명
HD | 1280×720 | 기본 HD 화질 |
HD+ | 1600×900 | HD보다 가로가 넓은 형태 |
FHD | 1920×1080 | Full HD |
QHD | 2560×1440 | 고해상도 스마트폰·모니터 |
4K UHD | 3840×2160 | 초고해상도 TV/모니터 |
예시 비교
- HD(1280×720)와 HD+(1600×900)는 세로 픽셀 수는 같지만, 가로가 320픽셀 더 넓어 더 많은 가로 정보를 보여 줍니다.
- FHD(1920×1080)는 HD보다 약 2.25배 많은 픽셀로 훨씬 선명합니다.
3. PPI와 해상도의 관계
- 동일한 화면 크기
- 같은 크기 화면에서 해상도가 높아지면 → PPI도 함께 증가 → 더 선명
- 해상도가 같지만 화면 크기가 커지면
- 해상도(픽셀 수)는 동일 → 픽셀 하나가 더 넓은 면적을 차지 → PPI ↓ → 다소 도트감이 느껴짐
따라서, 해상도와 화면 크기가 모두 디스플레이 품질을 결정하고, PPI는 이 둘의 조합을 한눈에 보여 줍니다.
4. 정리하며
- PPI는 인치당 픽셀 수, 숫자가 클수록 더 선명
- 해상도는 가로×세로 픽셀 수, 숫자가 클수록 더 많은 정보를 표현
- 같은 해상도라도 화면이 작아지면 PPI가 올라가고,
같은 화면 크기라도 해상도가 올라가면 역시 PPI가 올라간다
다음 번 스마트폰·모니터 구매나 임베디드 디스플레이 설계 시, 이 두 개념을 잘 활용해 보세요!
'임베디드 시스템 > STM32-LTDC,LCD-TFT,LVG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-배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두 가지 방법: LTDC vs SPI (2) | 2025.07.18 |
---|---|
이미지 파일을 C 배열로 저장하는 방법 (2) | 2025.07.18 |
임베디드 그래픽을 위한 픽셀 포맷 (1) | 2025.07.17 |
RGB 디스플레이와 기본 용어 (0) | 2025.07.16 |
임베디드 그래픽 시스템 완전 정복! (1) | 2025.07.16 |